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71

목욕탕에 모래가 나오는 원인? 샌드여과기 내부망 교체 목욕탕 및 스파탕을 운영하다 보면 탕 내부에 모래(여재)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순환할때 계속 적으로 유입이 된다면 왜 ? 나오는 것인지를 한번 알아보기로 해요 앞에 질문 처럼 목욕탕 내부에 스파탕 내부에 모래(여재)가 나오는 현상을 종종 볼수 있습니다.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을수도 있겠지만 한가지 의심을 해봐야 하는것이 여과기 내부에 필터가 손상 되었을때 종종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 오늘은 샌드여과기 내부망 교체 방법 및 개선해야 하는 사항을 알려드릴께요 :) 확인방법 1차적으로 확인방법은 일단 샌드여과기 내부에 여재를 모두 제거 합니다. 샌드여과기는 여과를 할때 모래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과기 내부에 모래유입을 막아주는 필터망이 존재하는데요. 옛날 모델일 경우 내부 망이 SUS망으로 되어 있.. 2024. 4. 19.
강화도어 플로어힌지 종류 및 설치 방법 건물 출입문은 보통 강화도어로 되어있는데요. 문의 열리는 방식에 따라 플로어힌지의 종류가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플로어 힌지 종류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플로어힌지란? 강화유리문, 아파트출입문,상가현관문에 주로 사용되는용도로 무게가 있는 유리문 과 스테인레스문에 주로 사용되는 부속품이다. 플로어힌지 종류 플로어힌지는 두가지로 나뉠수 있다 논스톱형 과 홀드오픈형 이렇게 2가지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논스톱형 - 문을 열고 나서 멈출수있는 구간이 없이 열고 나면 그대로 닫히는 형태의 플로어힌지 홀드오픈형 - 문을 90도까지열면 90도로 멈춰지게 되어 오픈하고 사용할수 있는 형태의 플로어힌지(최대 90도~115도까지 열림상태로 유지될수 있다.) 보통 K8000번대를 많이 사용 한다. 양쪽.. 2024. 4. 17.
열동계전기,과전류계전기(THR,EOCR) 종류 및 구조 시설관리 중 전기설비를 관리하다 보면 THR 및 EOCR 점검을 종종 하게되는데요. 열동계전기 , 과전류계전기라고도 하는 기계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전기설비 부속품으로 종류 및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열동계전기 (THR) 란? 펌프 및 팬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를 위하여 사용 되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이용 전류의 열을 감지하여 동작된다. 주위의 온도에 영향도 받기에 EOCR에 비해 다소 부정확한 면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며 기계적인 구조로 EOCR보다 저렴한 편이다 . 제어반 및 배수펌프 등에 주로 사용된다. 열동계전기(THR) 구조 전류설정 : THR이 트립을 하는 전류치를 설정 주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를 설정 한다. 자동/수동 : THR이 트립동작 후 복구하는 과정이 자.. 2024. 4. 16.
목욕탕,사우나 온도컨트롤러 기능 및 보정 방법(SDU-770N) 목욕탕 및 사우나 탕을 적정온도를 맞추기 위해서 온도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설정을 하게되는데요. 온도 센서 와 현장 탕 온도가 안맞았을때 아무리 온도컨트롤러 온도를 수정을해도 현장 이랑 온도가 다를때 온도컨트롤러 보정을 실시하는데요. 오늘은 온도컨트롤러 기능 및 보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도컨트롤러 란? 온도컨트롤러는 설정온도를 세팅하여 설정온도를 유지할수 있도록 전자변을 열고 닫고 해줄수 있는 장치 입니다. 보통 목욕탕에 냉탕.온탕.스파탕에 많이 사용되고 그외 여러 온도컨트롤이 필요한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온도컨트롤러 기능 (SDU-770N) 1. 전송출력 기능 4~20mAdc 전송출력 기능 내장으로 현재값, 설정값 또는 출력량을 외부 기기로 전송 기능 2. 가열 냉각 제어 전환 기능.. 2024. 4. 15.
[시설관리] 공조기,환조기에 대해서 알아보기 요즘 건물,빌딩을 보면 창문이 없는 건물들이 많죠? 서울만 가더라도 높은 빌딩은 겉면이 유리로 되어있고 창문이 없는데 환기 냉.난방은 어떻게 할까? 오늘은 공조기 및 환조기의 역활 사용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공조기란? 공조기(air handling unit) 보통 줄여서 AHU 라고 하는데요. 건물 실내의 온도, 습도, 환기등을 조절하는 기계설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조기 구조 R.A (Return Air) : 리턴 공기 및 회기 공기라고도 하는데요. 실내공기를 빨아당기는 리턴 팬 입니다. S.A (Supply Air) : 급기 공기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해주는 공급 팬 입니다. O.A (Outside Air) : 외기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 입니다. E.A (Exhaus.. 2024. 4. 14.
목욕탕 사우나 냉탕 온도 내리는 원리?냉동기,압축기 목욕탕 및 사우나에서 냉탕을 운영을 하는데요. 냉탕 온도를 어떻게 내리는지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냉탕 온도는 어떻게 내리는 건가? 혹시 그냥 찬물 넣으면 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설비운영을 통해서 냉탕온도를 내리기 때문에 이번시간에 한번 차근차근 알아볼께요. 목욕탕 이나 사우나에 온탕 열탕 냉탕 중에 오늘은 냉탕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께요. 냉탕은 온도를 보통 18도로 맞춰서 운영을 하시는 곳이 많은데요. 냉탕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어떤방법으로 설비가 구축 되어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냉동사이클 먼저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는 냉동기가 필요합니다. 압축기를 통해서 순환수를 차갑게 만들기 위해서 냉매를 이용해서 순환수의 온도를 내리는데요. 보통 이를 이해하려면 냉동사이클을 이해하셔.. 2024. 4. 13.
전기 감전 사고 원인 및 예방 대책은 어떻게 될까? 시설관리에서 전기담당을 하다보면 항상 노출되는 부분이 전기 감전 사고라고 생각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전기 감전사고원인 및 예방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전기설비를 다루다 보면 나도 모르게 찌릿 할때가 있는데요. 당연히 저전압 또는 220볼트에서는 가볍게 지나갈수있는 실수일지라도 380볼트 부터는 생명의 지장을 줄수 있기때문에 항상 조심하셔야 됩니다. 감전의 정의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발열, 근육수축 등)을 말한다. 감전의 영향 감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3가지로 함축할수 있는데요. 통전전류, 통전시간, 통전경로에 따라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대표 적인 인체이 미치는 영향을 알려드릴께.. 2024. 4. 12.
공기압축기 관리 방법 및 구성에 대해 알아보자 많은 산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장비중에 공기압축기가 있는데요. 오늘은 공기압축기 관리 방법 및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요. 공기압축기 란? 공기압축기란 공기를 압축해서 높은 압력을 만들어내는 기계이다. 보통 에어컴프레셔, 콤프레샤 등등 많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생각보다 많은곳에서 사용하는 장비이다. 압축공기가 필요하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사용하며 에어장비를 작동시킨다든지, 에어밸브작동, 청소용, 차량정비소공구작동, 타이어공기보충 등등 여러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필수 장비 이기도 하다. 공기압축기 종류 공기압축기의 종류는 피스톤 형식의 공기압축기 와 스크류 형식의 공기압축기로 나뉜다. 보통 산업현장에서 자주사용하는 타입은 피스톤(왕복동) 형식의 공기압축기를 많이 사용하며 스크류 형식의 공기압축기.. 2024. 4. 11.
승강기 안전관리자 교육 신청 방법 시설관리 선임중에 승강기 안전관리자도 포함이 되어있는데요. 오늘은 승강기 안전관리자 교육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승강기 안전관리자는 건물 승강기 및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안전관리자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승강기 관리교육이란? 승강기의 관리에 대한 교육으로 다중이용건축물 안전관리자는 "비상구출운전 승강기관리교육"을 받아야 하며 피난용 승강기안전관리자는 "피난용 승강기관리교육" 이 두가지에 포함이 안되는 승강기는 "일반 승강기관리교육"을 이수 하시면 됩니다. 다중이용건축물 안전관리자? 다중이용건축물 이란? 건축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6층이상의 건축물이거나 해당 용도의 바닥면적이 총 5천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하고있습니다. 즉. 문화 및 집회 시설(동물원 식물원제외), 종교시설,.. 2024. 4. 10.
건물관리 옥내급수관 수질검사 기준 및 방법 시설관리를 하다보면 많은 법령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건물관리에 있어서 옥내급수관 수질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법으로 정해져 있는 만큼 수질검사 기준 및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요. 옥내급수관 수질검사 란? 옥내급수관 수질검사는 국민들이 안전한 상태에서 급수(냉수)의 물을 공급 받을수있도록 수도배관의 상태를 수질검사를 통해서 법제화한 검사 입니다. 옥내급수관 법령 옥내급수관 수질검사는 수도법에 의해 규정되고 있습니다. 수도법 시행규칙을 확인해보면 제 23조에 급수관의 상태검사 및 조치등이라는 항목이 존재합니다. 옥내급수관 수질검사 검사 시기 및 벌금 수질검사 검사 시기는 최초 준공검사(급수관의 갱생.교체 등의 조치를 한 경우 포함) 실시한 날부터 5년 경과한 날을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실시 하도.. 2024. 4. 9.
수도 사용량 증가 원인 , 누수 배관 찾기, 부스터펌프 압력 점검 시설관리를 하다보면 갑짜기 수도 사용량이 증가 할때가 있는데요. 항상 건물에서 사용하는 수도는 이슈가 있지않는이상 크게 변동되지 않는편 입니다. 하지만 어느날 갑짜기 수도 사용량이 증가 하거나 하면 그 원인을 찾아야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육안으로 새는곳을 찾아서 정비하면 제일 좋겠지만 그게아니라면 어느배관라인에서 누수가 있는지를 찾아야 겠지요. 오늘은 수도 사용량 증가 원인 과 누수되는 배관라인을 어떻게 찾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해요. 일단 첫번째로 급수 계량기의 수치가 평소보다 많이 나온다고하면 어딘가에서 물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급수량이 증가 됐다고 볼수 있는데요. 그러면 물을 사용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도 물이 계속적으로 사용되는지를 확인을 해보셔야 됩니다. 건물에 부스터펌프가 건물 상층부 까지 .. 2024. 4. 8.
지하수 심정펌프 고장 점검 및 교체 하기 시설관리 중에 지하수가 있는 건물에는 지하수를 사용하는데요. 지하수 같은경우는 보통 호공이라고 하는데 땅 깊숙히 심정펌프 라는 지하수펌프를 내려보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심정펌프가 고장났을경우에 지하수가 나오지 않는데요. 이번에는 교체 및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해요. 지하수 란? 지하수란 토양과 암석 사이의 다양한 틈새와 구멍에서 흐르는 물을 의미하며 옛날에는 우물같은것도 지하수를 얻기위해 만들었던 것으로 지금은 지하수 관정을 통한 시추기를 이용하여 관정을 만들어 심정펌프를 넣어서 수돗물처럼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보통깊이는 70m~200m 정도 뚫어 지하수를 얻어내고 있습니다. 지하수의 목적은 음용수 와 생활용수로 나뉘어 지는데 보통 음용수 .. 2024. 4.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