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감전 재해 사례
전기 안전사고 예방 대책 알기

전기의 정의 및 용어
전기
전기적 에너지의 줄임말
- 에너지 :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1. 유익 : 모터,히터
2. 해 : 사고(감전,전기화재)
용어
1. 전류 : 전자의 흐름
2. 전압 : 전류흐름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3. 저항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
전기의 구분

정전기 : 정지된 미소에너지
감전요인 아님, 점화원 역활, 열은 불가능
1. 풀잎, 나뭇잎 끝에 매달린 이슬방울에 비교
2. 건조기에 승용차 토어를 접속할 때, 옷을 벗을 때와 이물 질간 마찰 시 발생
동전기 : 역속적인 흐름이 있는 전기 에너지
-직류 : 시간에 따라 방향 / 크기 일정 변화 무
-교류 : 시간에 따라 방향 / 크기 변화
1. 내리는 비에 비교
2. 축전기(건전기)-직류(DC), 산업용/가정용 전기 -교류(AC)
감전의 정의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한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
감전의 영향

1. 심실제동, 교크, 근육수축, 호흡정지
2. 발열작용에 따른 체온상승, 화상, 조직파괴
3. 피부화상, 피부괴사
4. 실신, 추락 (2차 재해)
감전의 발생 형태

1. 노출 충전부의 접촉에 의한 감전 (직접접촉)
2. 누전에 의한 감전 (간접접촉)
3. 특별고압 충전전로 근접접근 시 감전 (비접촉)
4. 낙뢰로 인한 감전 (화염,화상)
감전 재해 사례

활선 작업등 교체 중 감전
1. 재해개요
- 섬유염색 작업장에서 래피드 염색기에 설치된 작업등 교체작업 중 감전
2. 재해 발생 원인
- 전등 소켓의 충전부 노출
- 점등(활선) 상태에서 전구교체 작업 실시로 인해 손으로 직접 실시
- 유입된 전류가 주변 금속(염색기)에 접촉된 또 다른 신체
- 일부로 흐르면서 통전경로 형성
- 전등 회로에 누전차단기 미 설치
휴대용 전동 공구 작업 중 감전
1. 재해개요
- 비로 인해 옥외 작업장 바닥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등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대에 볼트구멍을 뚫기 위해 핸드 드릴로 천공작업을 하던 중 피복이 손상된 코드에 누전으로 감전 발생
2. 재해 발생 원인
- 이중절연 구조의 전동공구 미사용
- 코드의 피복손상 여부 미확인
-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미설치
전기 감전 재해 예방 대책
활선 작업등(전등) 교체 시

1. 재해 예방 대책
- 작업등 전선 인입부의 고무패킹 및 배선의 손상여부를 전원 투입 전에 확인
- 전등 교체 시에는 먼저 전원을 차단 후 교체하고 교환 후 전원을 투입하는 등 안전한 작업방법 준수
- 전등 및 전열(콘센트)회로 와 같은 임시배선 전로의 전원 측에는 감정 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
- 공중 매달기식 작업등은 전구 파손방지를 위해 전구 보호망 설치
휴대용 전동공구 작업 시

1. 재해 예방 대책
다음의 장소에서 휴대용 전동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측에 감전방ㅈ비용 누전차단기를 설치 사용
-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장소(옥외,지하실 등)
- 철판, 철골 위 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탱크나 선박의 내부)
- 위의 조치가 곤란한 경우, 전비극 있는 콘센트 및 플러그를 사용하여 금속제 외함을 접지
- 사용 전 또는 정기적으로 금속제 외함과 각 선간의 절연저항을 측정 하여 대기 전압 150V이상 300V이하에서 0.2M옴이상을 유지한다.
- 휴대용 전동 공구를 사용 시에는 반드시 이중 절연 구조의 제품을 사용하여 절연손상으로 인한 감전 재해 예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