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 직무 교육
소방 화기 취급작업 요령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방 안전 중에 화기 취급작업 요령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볼께요 :)
화기취급작업 및 안전규정

관련 법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 에 해당 됩니다.
화재위험작업이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의5
1. 인화성.가연성.폭발성 물질을 취급하거나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
2. 용접.용단 등 불꽃을 발생시키거나 화기를 취급하는 작업
3. 전열기구.가열전선 등 열을 발생시키는 기구를 취급하는 작업
4.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폭발성 부유분진을 발생기킬 수 있는 작업
5. 그밖에 상기와 비슷한 작업을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
공사현장의 안전관리 실태

공사현장의 화재 위험 특성
1. 전기화재 : 화재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합니다.
2. 방화 : 공사현장의 적치된 다량의 가연물이 연소하여 대규모 피해를 우려 합니다.
3. 현장사무소 등 가설건축물 화재 : 공사현장의 경우 컨테이너 등 가설건축물이 설치됨 (현재 소방시설 등의 설치유지 관리의무 없음)
4. 작업자 부주의 : 용접작업 불티로 인한 착화, 담배불티에 의한 화재가 빈번 합니다.
5. 공사 현장내의 화재 취약 요인
- 대규모 공사에 필요한 자재로 인한 다량의 가연물 보관 적치
용접작업의 화재 위험성

[작은 실수도 큰 화재와 폭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선]
1. 용접불티 비산(스패터 현상)으로 주위 가연물 착화
2. 아크용접에서는 용접봉과 모재의 수분에 의한 기포의 방출, 가스폭발, 과대전류, 아크휨(아크가 자기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 과대전류, 낮은 온도의 모재일 경우 스패터 현상 발생
3. 가스용접에서는 불꽃의 세기가 강할 경우
용접. 용단작업 시 발생되는 비산불씨의 특성
1. 용접.용단 작업 시 수천 개의 불티가 발생하고 비산
2. 비산불티는 풍향, 풍속에 따라 비산거리가 달라짐 : 최대 11m정도까지 흩어짐
3. 용접 비산 불티는 1,600도 이상의 고온체
4. 발화원이 될 수 있는 비산불티의 크기 : 최소 직경 0.3~3mm 정도
5. 가스 용접 시는 산소 압력, 절단속도 및 절단방향에 따라 비산불티의 양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
6. 비산된 후 상당시간 경과 후에도 축열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킬 수 있음
용접작업시 안전수칙
용접작업 전
1. 화재취급 작업 사전 허가 받기
2. 반격 11m 이내 가연물 제거 및 이동 조치
3. 안전조치 : 소화기, 방화포, 건조사, 물통
4. 개인보호구 : 방염복, 안전장갑, 보호용마스크, 방화안전화등
용접작업 중
1. 불티 비산거리내 화재 위험요인 확인
2. 가연성.폭발성.유독가스 존재 및 산소결핍 여부 지속적으로 검사
3. 보호구 착용 : 내열장갑, 앞치마, 안전모, 보안경 등
4. 용접 가스 실린더나 전기 동력원 등은 밀폐 공간 외부의 안전한 곳으로 배치
5. 폭발물, 가연성 물질을 담은 용기에 용접.용단작업 금지
6. 작업자는 무전기 등 관리자와 비상 연락수단 확보 및 개인보호장비 착용
용접작업 후
1. 작업장 주변에 불씨가 남아 있는지 30분정도 확인 한다.
밀폐공간 작업 시 안전 수칙
1. 밀폐공간 출입 시 반드시 허가를 받을 것
2. 산소측정 : 18% 미만 시 질식 사고 위험
- 정상적인 공기의 구성 : 산소 약 21%, 질소 78%, 기타 1%
- 산소결핍(공기 중 산소 농도가 18% 미만) : 16% 이하 시 산소결핀증 발생 우려
* 적정공기
- 산소: 18%이상, 23.5% 미만
- 이산화탄소 : 1.5% 미만
- 황화수소 : 10ppm 미만
- 일산화탄소 : 30ppm 미만
3. 환기 : 유해가스 제거 및 신선한 공기 공급
4. 보호구 착용 : 안전모, 안전화, 공기호흡기 등
5. 비상연락망 가동 : 비상상활 발생 시 신속한 대처
화기취급 작업 사전 허가 및 감독 절차

1. 사전 허가
- 작업허가
- 작업요청(화기취급작업신청서)
- 승인검토 및 허가서 발급
2. 안전 조치
- 화재예방 조치
- 안전교육
- 가연물 이동 및 보호조치
- 소방시설 작동 확인
- 용접.용단장비.보호구 점검
- 화재안전교육
- 비상 시 행동요령 교육
3. 작업 감독
- 화재감시인 입회 및 감독
- 최종 작업 확인
- 화재감시인 입회
- 화기취급 감독
- 현장상주 및 화재 감시
- 작업종료 확인
마무리
오늘은 소방 에서 화기 취급 작업 요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자료인 만큼 소방을 담당하시는 실무자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