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기설비4 [전기설비] 누전용 배선용 차단기 선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건물이든 가정집이든 무조건 사용되는 전기설비 그중에 각종 안전을 위해서 설치하는 것 중에 차단기가 꼭 있어야 됩니다. 오늘은 전기설비 누전용 차단기 배전용 차단기의 선정방법 및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할께요. 차단기 특징 누전차단기 (ELB : Earth Lealage Breaker) 누전을 차단 할수 있는 차단기로 합선 및 과부하도 차단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지락(누전) 및 단락(쇼트)시 전기를 차단하여 감전으로 인한 사고 및 누전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고 전자제품의 손상을 방지할수있다. 단, 누전차단기는 간판이나 기기등의 스위치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 배선용 차단기(MCB : Miniature Circuit Breaker) 합선 및 과부하만 차단 할수 있는 차단기로 누전은 차단하지 않는다. 전기를 과.. 2024. 4. 20. 열동계전기,과전류계전기(THR,EOCR) 종류 및 구조 시설관리 중 전기설비를 관리하다 보면 THR 및 EOCR 점검을 종종 하게되는데요. 열동계전기 , 과전류계전기라고도 하는 기계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전기설비 부속품으로 종류 및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열동계전기 (THR) 란? 펌프 및 팬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를 위하여 사용 되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이용 전류의 열을 감지하여 동작된다. 주위의 온도에 영향도 받기에 EOCR에 비해 다소 부정확한 면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며 기계적인 구조로 EOCR보다 저렴한 편이다 . 제어반 및 배수펌프 등에 주로 사용된다. 열동계전기(THR) 구조 전류설정 : THR이 트립을 하는 전류치를 설정 주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를 설정 한다. 자동/수동 : THR이 트립동작 후 복구하는 과정이 자.. 2024. 4. 16. 전기 감전 사고 원인 및 예방 대책은 어떻게 될까? 시설관리에서 전기담당을 하다보면 항상 노출되는 부분이 전기 감전 사고라고 생각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전기 감전사고원인 및 예방 대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전기설비를 다루다 보면 나도 모르게 찌릿 할때가 있는데요. 당연히 저전압 또는 220볼트에서는 가볍게 지나갈수있는 실수일지라도 380볼트 부터는 생명의 지장을 줄수 있기때문에 항상 조심하셔야 됩니다. 감전의 정의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전기적 충격에 의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발열, 근육수축 등)을 말한다. 감전의 영향 감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3가지로 함축할수 있는데요. 통전전류, 통전시간, 통전경로에 따라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대표 적인 인체이 미치는 영향을 알려드릴께.. 2024. 4. 12. 건물 시설관리직은 어떤 직업인지 알아보자 여러직업중에 시설관리직이 어떤 직업인지 모르거나 취업을 위해서 알아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오늘은 건물 시설관리직은 어떤 직업인지 알아보도록 할께요. 건물을 오랫동안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선,유지보수가 잘이루워져야 되는데요. 그럴때 필요한 인력이 시설관리를 하는 사람들 입니다. 시설관리직은 한마디로 간단하게 줄여서 말한다면 건물을 오랫동안 사용할수 있도록 관리하는 의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시설관리직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직종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해볼께요. 시설관리직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눠집니다. 기계설비, 소방설비, 전기설비, 영선설비 이렇게 4분야로 나뉘긴 하는데요. 좀더 특수한설비가 있는곳은 더 나눠지긴 하지만 보통 이렇게 4개의 분야로 나눠지는게 보편적 입니다. 4개의 분야에서 어떤일을.. 2024. 4.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