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건물관리/시설건물관리

열동계전기,과전류계전기(THR,EOCR) 종류 및 구조

by 주노쩡 2024. 4. 16.
728x90
반응형

시설관리 중 전기설비를 관리하다 보면 THR 및 EOCR 점검을 종종 하게되는데요. 열동계전기 , 과전류계전기라고도 하는 기계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전기설비 부속품으로 종류 및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THR EOCR 기능 및 종류

열동계전기 (THR) 란?

THR

펌프 및 팬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를 위하여 사용 되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이용 전류의 열을 감지하여 동작된다. 주위의 온도에 영향도 받기에 EOCR에 비해 다소 부정확한 면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며 기계적인 구조로 EOCR보다 저렴한 편이다 . 제어반 및 배수펌프 등에 주로 사용된다. 

 

열동계전기(THR) 구조

열동계전기구조

  • 전류설정 :  THR이 트립을 하는 전류치를 설정 주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를 설정 한다. 
  • 자동/수동 : THR이 트립동작 후 복구하는 과정이 자동/수동인지 결정
  • 트립버튼 : THR이 트립이 위로 버튼이 튀어오른다. 강제로 위로 올려 동작 테스트도 가능하다.
  • 주접점 : 1차측은 전원측(MC) 2차측은 부하(모터)
  • 보조접점 : b접점은 MC 코일과 연결하여 트립시 MC를 차단 a점점은 경고등(YL램프)에 주로 연결된다.

열동계전기(THR) 회로

1번째 사진 왼쪽 원은 과부하전류세팅을 나타내고 오른쪽 원은 자동수동 전환을 나타냅니다. 자동으로 두면 과부하시 보조점점이 동착하여 회로를 차단하다가 열이 식으면 다시 정상으로 자동으로 돌아옵니다. 수동으로 두면 보조접점이 동작하여 회로를 차단하고 정상으로 되돌릴 경우 오른쪽이 튀어나오는 트립버튼을 수동으로 눌러 동작 시켜야 합니다. 

 

과전류계전기(EOCR) 란?

과전류계전기

모터의 과부하 외에도 결상,지락 등의 다른 보호 기능이 존재하며 CT로 직접 전류를 측정하여 THR에 비해 정확도가 높습니다. 구조가 복잡하여 전기적인 구조로 THR보다 고가입니다.(기능을 추가할시) 

반도체소자가 들어가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가 추가 됩니다. 그외 여러 회사에서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과전류계전기(EOCR)종류

과전류계전기종류

계전기를 관통하는 관통형 과 선을 통해 단자에 물리는 단자형이 있습니다.  그외 지능형 디스플레이형으로 디스플레이에 직관적으로 숫자로 표시되는 EOCR도 존재 합니다. 가격은 더 고가 입니다. 

 

과전류계전기(EOCR) 구조

 

과전류계전기구조

  • CT : 주회로 선이 관통하여 전류의 값을 측정 한다.
  • PWR : EOCR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 확인
  • 전원단자 : EOCR 내부의 반도체 소자에 전원 공급
  • 보조접점 : b접점은 MC코일과 연결하여 트립시 MC를 차단 a접점은 경고등(YL램프)에 주로 연결
  • LOAD : EOCR이 트립을 하는 전류치를 설정 주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를 설정
  • D-TIME :  모터 기동시 정격전류의 6~8배의 전류가 흐르므로 이에 트립되지 않도록 기동시 지연시간 조절
  • O-TIME :  모터 운영의 연속성을 위하여 순간적인 과전류에 트립되지 않도록 지연시간 조절
  • TEST : 버튼을 눌러 트립여부를 확인하여 EOCR 정상동작 확인
  • RESET : 트립시 눌러서 EOCR을 정상가동(수동복구)

마 무 리

오늘은 전기설비에서 자주 확인하고 점검하는 것들중에 열동계전기 및 과전류계전기 (THR,EOCR)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기계설비쪽이라 잘알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구조 와 왜 사용하는지 어떤 기능이 있는지는 알고있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모든 설비에는 전기가 1차적으로 들어가기때문에 전기도 어느정도는 이해를 하고있어야 기계설비 점검시 좀더 수월해질수 있습니다. 기초적인 부분이라서 전기를 주로 만지시는 분들이 본다면 웃을수도 있지만 너그럽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