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를 하다보면 사우나 및 스파탕을 운영하는 곳의 시설물을 관리할때도 있는데요. 탕의 수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위해서 사용하는 샌드여과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샌드여과기란?
샌드여과기란 여재를 모래를 사용하여 사우나탕,스파탕 및 작은 탕들의 이물질 즉 머리카락,때,각종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여과기를 이야기를 합니다. 물을 정화해주는 역활은 없으나 탕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샌드 여과기의 주요 부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압력계
압력계는 샌드여과기의 내부 압력을 체크해주는 부품으로 내부에 물이 가득 찼을때 펌프가 물을 밀어줬을때 압력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만약에 위에 사진처럼 0 으로 되어있다면 샌드여과기 내부에 공기가 차있거나 물이 순환을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퍼지 밸브
위 사진 오른쪽에 밸브는 에어퍼지밸브로 샌드 여과기 내부에 에어가 차있다면 밸브를 오픈하여 에어를 빼주는 밸브 입니다. 보통 여과기를 처음 켜줄때 같이 오픈하여 샌드여과기 내부에 혹시 모를 에어를 빼주는 밸브 입니다. 압력계 수치가 0이거나 적정 압력까지 올라가지 않을때 밸브를 오픈하여 에어퍼지를 실시 해주시면 됩니다.
샌드 여과기 밸브는 보통 볼밸브를 사용하며 2way밸브 보통 볼밸브를 4개를 사용하거나 3way볼밸브를 사용하여 2개를 사용하여 설치를 해줍니다. 지급보시는 형식은 볼밸브 4개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샌드 여과기 입니다.
보통 정상적으로 여과 순환을 할때는 물이 위로 들어가서 아래로 나오는 형식으로 진행 됩니다.
순환펌프
순환펌프 경우 탕에 있는물을 여과기로 순환시켜주는 장치로 일반 배부펌프와 다르게 배관에 물이 꽉 차있어야 하며 어느정도 자연압으로 밀어주는 압력이 있어야 자연스럽게 펌핑을 할수있는 펌프 입니다.
집모기(헤어커쳐)
펌프와 연결된 부분은 집모기(헤어커쳐)라는 보통 머리카락이나 큰 이물질을 걸러주는 장치 입니다. 뚜껑을 오픈해보면 프라스틱으로 된 망이 설치 되어 있어서 머리카락 및 큰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는 장치 입니다.
샌드여과기 역세 방법
역세 방법은 정상 순환 반대로 밸브를 조작해주면 됩니다. 정상 순환은 물이 여과기 상부로 방향으로 들어가서 하부 방향으로 나와서 공급되는 형식으로 역세는 물이 반대로 하부로 들어가서 상부로 나와서 드레인으로 빠지는 형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사항은 밸브 조작하실때는 꼭 여과기를 정지 후 조작하셔야 됩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 경우는 탕의물이 순환할때 열판을 이용해서 열교환을 해주는 장치로 중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쪽판에는 중온수 및 뜨거운 물이 흐르면서 반대쪽 판에는 탕의 물이 흐르면서 열교환을하여 탕의 적정온도까지 올려주는 장치 입니다.
드레인배관
상부에 회색관으로 되어있는 부분이 드레인 배관 입니다. 강관으로 설치되어있을수도 있고 pvc배관으로 설치되어있을수도 있습니다. 이 드레인배관은 역세시 물을 버릴때 사용하는 배관 입니다. 역세시 밑에서 위로 물을 올리면서 모래를 세척해주는데요. 세척을 할때 이물질을 버릴때 사용하는 배관 입니다.
체크밸브
정상 순환을 할때 한쪽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설치되어있는 체크밸브 라는 부속품 입니다. 체크밸브가 없다면 샌드여과기를 멈췄을때 물이 압력에 의하여 밀고 내려올수 있기때문에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여과기가 정지시에도 물이 여과기쪽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샌드여과기를 정상가동시 에어퍼지 밸브를 열고 에어퍼지를 진행하면서 가동을하면 처음기동시 여과기 내부에 있는 에어가 나오면서 여과기 내부에 물이 가득 차있으면 물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샌드여과기 내부에 물이가득하다는걸 확인 후 에어퍼지밸브를 닫아주시면 됩니다. 만약 배관내에 에어가 중간 중간 있다면 물이 나오다가 에어가 나오고 그것을 반복 할수도 있으니 물이 바로 나온다고 닫지 말고 몇분간 밸브를 오픈하여 지켜보고 닫는것을 추천 합니다.
최종마무리
사우나 및 스파탕 시설관리를 하기위해서 샌드여과기의 주요 부품 과 역활,역세방법을 설명해드렸는데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친절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저의 설명이 100% 맞다고 볼수는 없지만 현업에서 관리하고 있는 설비로 시설관리를 처음접하는 초보자도 쉽게 알수 있도록 설명하였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